감식초 제조법 1
감식초는 푸른 감이나 익어 땅에 떨어진 감으로 할 수 있다 .
특히 잘 익은 감을 따서 항아리 ( 약품 처리가 되지 않은 무공해 항아리 ) 에 담아 약간의 감식초 원액을 첨가하여 약 1 년간 발효를 시켜야 한다 .
5 개월간 발효시킨 뒤 찌꺼기를 짜내 체로 거른 것을 깨끗한 항아리에 넣어 7 개월간 숙성 시킨다 .
월동기간에도 18~22 ℃의 온도를 유지 시켜주어야 한다 .
감식초 제조법 2
- - 감은 어느 종류나 사용할 수 있지만 단맛이 나는 감이 식초 맛도 좋다.
- - 잘 익고 흠집이 없으며 과육이 단단한 감을 고른다.
- - 흠집이 있는 부위는 칼로 도려내고 쓴다.
- - 감을 꼭지 채 항아리에 차곡차곡 넣고 누룩가루를 뿌린다.
- - 집에서 기른 감이라면 누룩가루를 뿌리지 않아도 된다.
- - 항아리에 채워진 감의 윗부분을 짚 또는 거즈로 덮은 뒤 돌로 눌러준다.
- - 3 개월 정도면 식초가 되지만 조금 더 숙성시키는 것이 좋다 .
감식초 제조법 3
- - 떡시루나 소쿠리를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 후 바닥에 천을 깔아 놓는다.
- - 항아리 위에 떡시루를 얹고 익은 감이나 떨어진 홍시를 차곡차곡 넣는다.
- - 감이 무르면 감의 원액이 한 방울 두 방울 떨어지며 항아리를 가득 채우게 된다.
- - 항아리에 감의 원액이 가득 차면 천으로 밀봉한 후 발효시킨다.
- - 발효온도는 섭씨 18 도 내지 22 도 , 1 년간 발효시킨다 .
감식초 제조시 유의사항
- - 감이나 용기에 물기가 있으면 발효과정에서 부패할 우려가 있으므로 감과 용기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감식초 제조에 들어가야 한다.
- - 감은 되도록 물에 씻지 않는 것이 좋다.
- - 대신 수건이나 거즈로 과일 표면에 묻어있는 더러운 물질들을 완전히 닦아낸다.
- - 감잎이 있으면 감잎을 함께 넣어 식초를 만든다.
- - 발효할 때 실내온도를 섭씨 18 도에서 22 도 사이로 유지시켜 주지 않으면 발효가 제대로 되지 않아 풍미나 약성이 떨어지므로 적정온도 유지에 신경을 써야 한다.
- - 공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로 밀봉을 하면 미생물의 활동이 불가능해 부패할 우려가 있다.
- - 그러므로 반드시 공기소통이 가능한 천으로 밀봉한 후 발효시켜야 한다.
감식초 활용법
- 1. 맛이 부드러워 그냥 마셔도 좋으나 냉수나 우유·꿀물·녹차·주스 등에 1:5 비율로 섞어 하루 3 회 정도 마시면 좋습니다 . 원액을 드실분은 소주반잔 정도를 하루 3 회정도 드시면 좋습니다 .
- 2. 요리를 만들 때 일반 식초 대신 사용하면 감칠맛과 함께 향을 느낄 수 있으며 이 식초를 이용해 초란·초콩·초우엉·초마늘 등을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.
- 3. 초란은 감식초에 달걀을 껍질째 넣어 만든 것으로 , 하루 정도 지나면 껍질이 녹고 거품이 일어나는데 , 이때 거품을 걷어내고 복용하면 됩니다 .
- 4. 초콩은 감식초에 검정콩을 3:1 비율로 섞어 만든 것으로 , 유리병에 넣고 10 일 정도 절이면 비린 맛이 없어지는데 , 반찬으로 먹거나 하루 3~4 회 20~30 알씩 꼭꼭 씹어 먹습니다 .
- 5. 초우엉은 우엉·꿀·과실식초를 함께 넣고 끓여 만든 것으로 , 냉암소에서 1 개월 정도 숙성시켰다가 마십니다 .
- 6. 마늘초는 1 쪽을 2 등분한 마늘과 감식초를 1:3 의 비율로 담아 만든 것으로 , 2 주일 정도 절인 뒤 하루에 1~2 쪽씩 드시면 됩니다
• 보관중 색이 다소 검게되거나 침전물이 생기는 것은 감의 탄닌성분에 의한 자연적인 현상이므로 안심하고 드셔도 좋습니다.